또바 호수(Danau Toba)에는 거대한 크기의 섬이 하나 있다. 이름은 사모시르 섬(Pulau Samosir). 호수 자체만 놓고 봐도 엄청나게 큰데 호수 안에 섬이 있다니 듣기만 해서는 그 크기를 짐작하기 어렵다. 대부분 여행자들이 또바 호수를 여행한다고 하면 또바 호수 내의 사모시르 섬에 머물고, 조금 더 정확히 말하자면 사모시르 섬에서 작게 튀어나온 부분인 뚝뚝(Tuk Tuk)에 머문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큰 섬을 오토바이로 돌아보자고 했을 때도 역시 가벼운 마음으로 생각했다. 여행이 대책 없었으니 실행에 옮기는 것도 딱히 고민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는 단순하게 한 바퀴 돌아보자는 내 생각은 그야말로 '미친 짓'이었던 거다.
난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방을 옮기고, 곧바로 오토바이를 빌렸다. 그리곤 먼저 뚝뚝 마을을 돌았다. 부킷라왕에서 튜브를 타느라 빨갛게 탄 살이 너무 따가워서 이대로 오토바이를 타면 아예 벗겨질 것 같았다. 선크림부터 사러 갔다. PC방에 있던 어느 외국인의 안내로 오토바이를 타고 몇 분 돌다가 선크림을 살 수 있었다. 돈을 건네 받은 아이는 선크림을 듬뿍 짜서 다리와 얼굴을 바르는 내 모습을 한동안 바라보더니 씨익 웃으며 안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하루 종일 섬을 돌다가 지치는 바람에 근사한 저녁 따윈 생각할 틈도 없었다. 사모시르 섬의 크기는 무려 싱가포르의 면적보다도 더 크다. 크기만 놓고 봐도 그런데 비포장도로에 산을 오르는 여정은 정말 끔찍하다. 어느 정도였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오토바이를 타고 달린 사모시르 섬을, 사진으로나마 구경하면 살짝이나마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배는 무지 고팠지만 뚝뚝으로 돌아가려면 다시 또 달려야 했다. 그랬다. 난 오토바이를 타고 섬을 일주하겠다는 낭만적인 계획을 꾹꾹 눌러서 버린지 오래고, 오로지 돌아가야 한다는 절박함만 남았다. 위험한 동네는 아니지만 어둠이 깔리면 돌아가는데 더 어려울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었기 때문이다. 원래 이런 상황이 되면 수천가지의 불길한 생각이 머릿속을 스쳐지나간다.
이제 겨우 섬의 반을 돌았다. 다행히 포장된 도로라 운전하는데 한결 편해졌다. 도로 양 옆으로 추수가 막 시작되는 논이 보였는데 굉장히 신기했다. 분명 아까 전에는 모내기를 하는 모습을 봤는데 여기에서는 추수와 탈곡을 동시에 하고 있었다. 여긴 이모작이 아니라 삼모작을 한다는 건가? 오토바이를 타고 이동했을 뿐인데 모내기부터 탈곡하는 풍경을 보면 이곳에선 시간이라는 게 아예 무시되고 있는 것 같았다.
이렇게 큰 섬을 오토바이로 돌아보자고 했을 때도 역시 가벼운 마음으로 생각했다. 여행이 대책 없었으니 실행에 옮기는 것도 딱히 고민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는 단순하게 한 바퀴 돌아보자는 내 생각은 그야말로 '미친 짓'이었던 거다.
난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방을 옮기고, 곧바로 오토바이를 빌렸다. 그리곤 먼저 뚝뚝 마을을 돌았다. 부킷라왕에서 튜브를 타느라 빨갛게 탄 살이 너무 따가워서 이대로 오토바이를 타면 아예 벗겨질 것 같았다. 선크림부터 사러 갔다. PC방에 있던 어느 외국인의 안내로 오토바이를 타고 몇 분 돌다가 선크림을 살 수 있었다. 돈을 건네 받은 아이는 선크림을 듬뿍 짜서 다리와 얼굴을 바르는 내 모습을 한동안 바라보더니 씨익 웃으며 안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하루 종일 섬을 돌다가 지치는 바람에 근사한 저녁 따윈 생각할 틈도 없었다. 사모시르 섬의 크기는 무려 싱가포르의 면적보다도 더 크다. 크기만 놓고 봐도 그런데 비포장도로에 산을 오르는 여정은 정말 끔찍하다. 어느 정도였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오토바이를 타고 달린 사모시르 섬을, 사진으로나마 구경하면 살짝이나마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배는 무지 고팠지만 뚝뚝으로 돌아가려면 다시 또 달려야 했다. 그랬다. 난 오토바이를 타고 섬을 일주하겠다는 낭만적인 계획을 꾹꾹 눌러서 버린지 오래고, 오로지 돌아가야 한다는 절박함만 남았다. 위험한 동네는 아니지만 어둠이 깔리면 돌아가는데 더 어려울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었기 때문이다. 원래 이런 상황이 되면 수천가지의 불길한 생각이 머릿속을 스쳐지나간다.
이제 겨우 섬의 반을 돌았다. 다행히 포장된 도로라 운전하는데 한결 편해졌다. 도로 양 옆으로 추수가 막 시작되는 논이 보였는데 굉장히 신기했다. 분명 아까 전에는 모내기를 하는 모습을 봤는데 여기에서는 추수와 탈곡을 동시에 하고 있었다. 여긴 이모작이 아니라 삼모작을 한다는 건가? 오토바이를 타고 이동했을 뿐인데 모내기부터 탈곡하는 풍경을 보면 이곳에선 시간이라는 게 아예 무시되고 있는 것 같았다.
여행팁
1. 오토바이를 타고 섬을 한 바퀴 돌아보는 것은 ‘미친 짓’이라고 했지만 진정한 또바 호수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건 분명 매력적이다. 평화로운 동네에서 소를 끌고 가는 아이, 호수를 배경으로 모내기를 하거나 벼를 탈곡하는 모습은 상당히 이국적이다.
2. 나처럼 미련하게 섬을 한 바퀴 돈다는 생각을 한다면 아침 일찍 나가 저녁 때 돌아올 것을 각오해야 한다. 사실 섬을 가로지르는 길은 지도에도 나와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 오토바이를 타고 달리면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내가 찾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길이 너무 좁아 보이지 않았던 것인지 모르겠다. 덕분에 난 그냥 한 바퀴를 돌아버렸다. 떠나기 전에 길을 먼저 찾아봐라.
3. 대부분 여행자들은 자전거와 오토바이를 빌리더라도 뚝뚝 내에서나 가까운 마을(토목이나 암바리타) 정도만 돌아보는 편이다. 일단 포장된 도로라 오토바이 타고 달리면 크게 힘들지 않다. 지나가면서 봤기 때문에 확신은 할 수 없지만 암바리타에는 ATM이 있는 것 같다.
1. 오토바이를 타고 섬을 한 바퀴 돌아보는 것은 ‘미친 짓’이라고 했지만 진정한 또바 호수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건 분명 매력적이다. 평화로운 동네에서 소를 끌고 가는 아이, 호수를 배경으로 모내기를 하거나 벼를 탈곡하는 모습은 상당히 이국적이다.
2. 나처럼 미련하게 섬을 한 바퀴 돈다는 생각을 한다면 아침 일찍 나가 저녁 때 돌아올 것을 각오해야 한다. 사실 섬을 가로지르는 길은 지도에도 나와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 오토바이를 타고 달리면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내가 찾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길이 너무 좁아 보이지 않았던 것인지 모르겠다. 덕분에 난 그냥 한 바퀴를 돌아버렸다. 떠나기 전에 길을 먼저 찾아봐라.
3. 대부분 여행자들은 자전거와 오토바이를 빌리더라도 뚝뚝 내에서나 가까운 마을(토목이나 암바리타) 정도만 돌아보는 편이다. 일단 포장된 도로라 오토바이 타고 달리면 크게 힘들지 않다. 지나가면서 봤기 때문에 확신은 할 수 없지만 암바리타에는 ATM이 있는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