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장이 ‘웨스턴 스타일’이라고 강조했던 화장실이었지만, 좌변기는 물을 부어야 내려가는 노동이 필요했고, 샤워기는 수도꼭지 끝에 매단 대충스러움을 자랑했다. 당연히 뜨거운 물이 아닌 차디찬 물이 나왔다. 그마저도 수압이 안 좋은지 물은 찔끔찔끔 나왔다. 하긴 5만 루피아를 주고 뜨거운 물을 기대하는 건 도둑놈 심보다. 그래도 가쁜 호흡을 내쉬며 샤워를 할 때면 뜨거운 물이 그립지 않을 수 없었다.
정글 트레킹을 출발하려면 시간이 조금 남아 마냥 기다리기만 했다. 내 뒤에는 나이가 어려 보이는 서양인 한 명이 아침 식사를 하고 있었는데 입이 근질거려 내가 먼저 말을 걸었다. 트레킹을 다녀왔냐고 물어보니 오늘 간다고 했다. 오늘이라고 한다면 나와 함께 트레킹을 하는 멤버다. 반가운 마음에 서로 인사를 했다. 네덜란드인으로 이름은 닉이었는데, 나와 몇 마디 나누다가 대뜸 여태까지 여행을 하면서 한국 사람은 처음 본단다. 아무리 인도네시아에서 한국 사람을 만나기 쉽지 않아도 그렇지 여태까지 단 한 사람을 만나지 못했다니.
잠시 후 트레킹 가이드가 도착했다. 쪼리만 신고 있는 날 위해 고무신을 줬다. 난 양말조차 없어 그냥 맨발에 고무신을 신었다. 그리고는 숙소에 짐을 맡긴 뒤 물을 샀다. 원래는 500ml만 사려고 했는데 아주머니가 1.5L가 필요할 거라면서 다시 한 번 물었다. 하긴 이틀 동안 정글에 있을 건데 500ml는 부족해 보여 1.5L로 바꿨다.
출발 전에는 다른 숙소로 이동해 네덜란드 여자 2명을 만났다. 한국인인 나와 같은 숙소에 머물렀던 네덜란드인 닉, 그리고 다른 숙소에 머물고 있는 네덜란드인 여자 2명, 이렇게 총 4명이 정글 트레킹 멤버였다.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네덜란드 여자 2명은 오전 트레킹만 신청한 상태였다. 그리고 처음이나 나중에나 아시아인은 나 혼자였다.
숙소 앞에는 어깨까지 머리를 기른 남자 몇 명이 앉아있었는데 나를 보자 장난스럽게 말을 걸었다. 내가 한국 사람이라고 하니까 춤을 추면서 “오~ 꼬레아? 으히히, 그~앙남 스타일! 근데 너 오늘 정글로 가지? 그럼 오늘은 강남 스타일이 아니라, (말춤 포즈를 취하며) 바로 정글 스타일!”이라고 했다.
닉은 한국 사람을 안 만나봤어도 강남 스타일은 아는지 “그 노래 부른 가수 한국인 아니지?”라는 다소 황당한 질문을 했다. 아니 싸이가 한국인이 아니라는 말은 대체 무슨 소리지?
부킷라왕 정글 트레킹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야생 오랑우탄을 아주 가까이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야생이라 오랑우탄이 항상 일정한 시각에, 일정한 장소에서 나오진 않지만, 동물원의 오랑우탄처럼 갇혀있는 게 아닌 정말 살아있는, 야생 그 자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숲속의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오랑우탄은 보르네오 섬과 수마트라 섬에만 있는 동물로, 실제로 사람과 가장 가깝다고 한다. 다만,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어 멸종위기다.
다시 또 걸었다. 이제부터는 편안한 길이 아닌 경사가 있는 길이 나왔다. 역시 가장 앞서서 걷는 사람은 나와 닉이었고, 네덜란드 여자들은 몸집이 있어서 그런지 무척 힘들어 했다.
어디가 어딘지도 모르는 좁은 길을 따라 다시 걷기 시작했는데 다른 무리의 트레킹 멤버를 만나게 되었다. 여기에서 또 쉬었다. 산을 계속 오르내리긴 하지만 이렇게 쉬는 시간이 많았다. 이때 오전 트레킹만 신청했던 네덜란드 여자 2명은 내려가고, 처음 만난 새로운 무리와 함께 하게 되었다.
과일을 먹으면서는 뼈있는 농담도 했다.
“평소 이렇게 웃을 기회도 없잖아. 다들 컴퓨터나 쳐다보며 멍하니 쳐다보기나 하고. 하지만 여긴 아무 생각하지 않아도 돼. 그냥 웃어. 너희 나라로 돌아가면 이렇게 웃지도 못할 테니 여기서 많이 웃으라고.”
정글 트레킹을 출발하려면 시간이 조금 남아 마냥 기다리기만 했다. 내 뒤에는 나이가 어려 보이는 서양인 한 명이 아침 식사를 하고 있었는데 입이 근질거려 내가 먼저 말을 걸었다. 트레킹을 다녀왔냐고 물어보니 오늘 간다고 했다. 오늘이라고 한다면 나와 함께 트레킹을 하는 멤버다. 반가운 마음에 서로 인사를 했다. 네덜란드인으로 이름은 닉이었는데, 나와 몇 마디 나누다가 대뜸 여태까지 여행을 하면서 한국 사람은 처음 본단다. 아무리 인도네시아에서 한국 사람을 만나기 쉽지 않아도 그렇지 여태까지 단 한 사람을 만나지 못했다니.
잠시 후 트레킹 가이드가 도착했다. 쪼리만 신고 있는 날 위해 고무신을 줬다. 난 양말조차 없어 그냥 맨발에 고무신을 신었다. 그리고는 숙소에 짐을 맡긴 뒤 물을 샀다. 원래는 500ml만 사려고 했는데 아주머니가 1.5L가 필요할 거라면서 다시 한 번 물었다. 하긴 이틀 동안 정글에 있을 건데 500ml는 부족해 보여 1.5L로 바꿨다.
출발 전에는 다른 숙소로 이동해 네덜란드 여자 2명을 만났다. 한국인인 나와 같은 숙소에 머물렀던 네덜란드인 닉, 그리고 다른 숙소에 머물고 있는 네덜란드인 여자 2명, 이렇게 총 4명이 정글 트레킹 멤버였다.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네덜란드 여자 2명은 오전 트레킹만 신청한 상태였다. 그리고 처음이나 나중에나 아시아인은 나 혼자였다.
숙소 앞에는 어깨까지 머리를 기른 남자 몇 명이 앉아있었는데 나를 보자 장난스럽게 말을 걸었다. 내가 한국 사람이라고 하니까 춤을 추면서 “오~ 꼬레아? 으히히, 그~앙남 스타일! 근데 너 오늘 정글로 가지? 그럼 오늘은 강남 스타일이 아니라, (말춤 포즈를 취하며) 바로 정글 스타일!”이라고 했다.
닉은 한국 사람을 안 만나봤어도 강남 스타일은 아는지 “그 노래 부른 가수 한국인 아니지?”라는 다소 황당한 질문을 했다. 아니 싸이가 한국인이 아니라는 말은 대체 무슨 소리지?
부킷라왕 정글 트레킹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야생 오랑우탄을 아주 가까이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야생이라 오랑우탄이 항상 일정한 시각에, 일정한 장소에서 나오진 않지만, 동물원의 오랑우탄처럼 갇혀있는 게 아닌 정말 살아있는, 야생 그 자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숲속의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오랑우탄은 보르네오 섬과 수마트라 섬에만 있는 동물로, 실제로 사람과 가장 가깝다고 한다. 다만,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어 멸종위기다.
다시 또 걸었다. 이제부터는 편안한 길이 아닌 경사가 있는 길이 나왔다. 역시 가장 앞서서 걷는 사람은 나와 닉이었고, 네덜란드 여자들은 몸집이 있어서 그런지 무척 힘들어 했다.
어디가 어딘지도 모르는 좁은 길을 따라 다시 걷기 시작했는데 다른 무리의 트레킹 멤버를 만나게 되었다. 여기에서 또 쉬었다. 산을 계속 오르내리긴 하지만 이렇게 쉬는 시간이 많았다. 이때 오전 트레킹만 신청했던 네덜란드 여자 2명은 내려가고, 처음 만난 새로운 무리와 함께 하게 되었다.
과일을 먹으면서는 뼈있는 농담도 했다.
“평소 이렇게 웃을 기회도 없잖아. 다들 컴퓨터나 쳐다보며 멍하니 쳐다보기나 하고. 하지만 여긴 아무 생각하지 않아도 돼. 그냥 웃어. 너희 나라로 돌아가면 이렇게 웃지도 못할 테니 여기서 많이 웃으라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