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여행을 하면서 보니 열차가 참 다양하다는 것을 느꼈다. 그냥 무궁화, 새마을, KTX처럼 단순하지 않았고 구간별로 다른 열차가 다니는 것은 물론 같은 구간이라도 특급열차의 개념으로 운행되는 경우도 있었다. 게다가 열차의 외부와 내부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보는 즐거움도 갖게 만들었다. 그래서 일본 기차여행이 매력이 있나 보다.
고쿠라로 데려다 줄 열차는 바로 소닉열차였다. 소닉이라고 하면 세가의 게임 캐릭터가 떠오르기 마련인데 실제 그 영향인지는 알 수 없으나 열차도 같은 파란색이었다. 소닉열차를 자세히 살펴보고 싶었지만 에끼벤을 사들고 정신없이 올라타는 바람에 제대로 사진도 찍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여행의 설레임은 출발할 때 가장 큰 법이다. 그래서 공항에 도착할 때 혹은 비행기에 올라탔을 때 설레임으로 기분이 들뜨기 마련인데 사실 이동할 때도 마찬가지다. 기차나 버스와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해서 다른 도시 혹은 다른 나라를 이동할 때도 그 설레임으로 들뜨곤 했다.
처음으로 마주하게 된 에끼벤의 모습은 무척 깔끔한 구성이었다. 풍성한 반찬은 아니긴 했지만 계란, 돈까스, 버섯, 생선, 연근 등 다양하게 배치되어 있었고, 무엇보다 색깔이나 모양면에서 보는 즐거움까지 더했다. 과연 일본스럽다는 말이 이런 도시락에서도 나올 줄이야.
물론 버스나 비행기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이동수단인 것은 맞지만 확실히 기차여행 만큼은 아닌 것 같다. 커다란 창을 통해서 바깥을 구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편안한 자리에서 도시락을 먹는 즐거움은 다른 교통에서는 즐길 수 없는 여행의 방법이다.
일본의 열차를 타보니 대부분 비어있었던 적이 많았다. 여행자인 나로써는 주변에 사람이 없어서 한결 편안한 여정이 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일본인들을 가까이에서 쉽게 볼 수 없었다는 점은 조금 아쉬웠다. 아무래도 여행을 하다보면 현지인이나 혹은 여행자와 이야기 할 수 있는 공간 중 하나가 바로 이동할 때인데 말이다.
12시 20분에 출발한 열차는 13시 06분에 도착했으니 고쿠라까지는 채 1시간도 걸리지 않은 짧은 시간이었다. 에끼벤을 먹고 잠시 경치를 감상했을 뿐인데 벌써 고쿠라에 도착했던 것이다.
미야자키로 가는 야간열차는 밤 12시, 이제 막 도착한 나로써는 엄청나게 시간이 남은 상태였다. 이니그마님은 시모노세키쪽으로 가보고 싶다고 했고, 나는 고쿠라를 돌아보고 싶었기 때문에 곧바로 헤어졌다. 우리 여행은 같이 다녔지만 이렇게 완전히 다른 여행을 했던 것이다. 심지어 이렇게 같이 이동한 적도 거의 없었으니 아예 따로 여행을 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그럼 이제 고쿠라를 천천히 둘러볼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