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전통놀이에는 뭐가 있을까?
이런 고민에 사람들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놀이들은 대게 윷놀이, 팽이치기, 그네뛰기라고 말하면 다행이고, 간혹가다가 고스톱이라는 어이없는 말을 하기도 한다. 사실 놀이문화도 우리의 전통적인 문화이자 지켜야할 유산인데 이런 문화에 대한 연구가 턱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아주 우연찮게 백제의 전통놀이를 직접 지켜볼 수 있었다. 아니 다른 문화도 아니고 백제의 전통놀이라니 이건 좀 신기하지 않은가?
공주박물관을 새롭게 개장한 충청남도 역사박물관을 가게 되었다. 사실 서울에서 내려가긴 했지만 공주는 원래 고향인 대전과도 무척 가까운 지역이라 전혀 다른 지역이라고 느껴지지 않은 곳이기도 하다. 그런 곳에 이런 박물관이 있다는 것도 몰랐으니 그만큼 관심이 많이 없었다는 이야기라 조금은 부끄럽기도 했다.
충청남도 역사박물관을 방문하자 특별히 준비를 하신 것이 있었으니 바로 백제의 전통놀이였다. 물론 전통놀이를 재연할 아이들의 관심사는 내가 아니라 오로지 줄넘기에 있어 신나게 뛰기만 했다. 아이들이 신나게 뛰어 노는 모습을 보니 참 순수해 보여서 보는 사람들도 즐거워졌다.
잠시 후 아이들은 전통놀이를 하기 위해 자리에 앉았는데 한 눈에 봐도 생소한 보드판이 신기했다. 이미 이 아이들은 전통놀이에 대한 게임방법을 익힌 상태였고, 즐기면서 게임을 할 수 있는 단계였다.
또 원래 이런 저포놀이나 쌍륙은 조선시대에도 즐겼을 정도로 인기있었던 놀이였다고 한다. 하지만 갑자기 우리의 머릿속에 사라진 놀이는 다름이 아닌 일제시대를 겪으면서였다. 우리나라의 전통놀이들도 역시 민족말살정책에 의해 사라졌던 것이다. 그 틈을 비집고 들어온 것이 바로 고스톱인데 우리는 그걸 가장 많이 즐기고 있으니 정말 안타까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왜 우리의 잊혀졌던 놀이문화를 살리는 것이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다.
하지만 나중에 모든 놀이가 끝나고 내 앞으로 뛰어가면서 "아~ 진짜 이길 수 있었는데... 아까 졌어요!" 라고 말했다. 나도 거의다 이겼다고 생각했는데 어떻게 해서 진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그래도 해맑게 웃으며 뛰어가던 아이들의 미소가 너무나 맑았다.
아이들은 너무 더웠을텐데 지켜보는 사람들을 위해 일부러 의상을 차려입는 수고를 했다. 땀을 뻘뻘 흘리는 아이들이 그 더운 날을 참고 시범을 보여주는 것이 고맙기도 하고, 대견스러워 보였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참 대단했다. 아마 다른 꼬마 아이들이었다면 벌서부터 덥다고 칭얼대지 않았을까?
백제의 전통놀이인 쌍륙과 저포놀이는 사실 일반인에게는 굉장히 생소했다. 놀이방법도 그랬고, 이런 놀이가 있는지 조차도 몰랐으니 말이다. 그래서인지 이번 2010 세계대백제전 때 일반인들이 직접 놀이도 즐길 수 있게 한다고 하니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찾아가 봐도 좋을거 같다.
충청남도 역사박물관을 둘러보고 나왔을 때 아이들은 여전히 이 앞에서 줄넘기를 하며 놀고 있었다. 어쩌다보니 나도 이 아이들과 함께 줄넘기를 하며 놀게 되었다. 아이는 얼굴이 빨개지고, 땀을 뻘뻘 흘렸는데도 너무 좋아하며 계속 줄넘기를 했다. 근데 문제는 내가 힘들어 죽겠다는 거다.
내가 이만 가봐야 한다고 했는데도 놓아주지 않았던 아이들을 뒤로 하자 "그럼 잘가요! 또 놀러와요!" 라고 손을 흔들었다. 백제의 어린이들을 만나고 온 나도 웃음이 멈추지 않았다.
반응형